목적: 이 수업의 목표는 3가지 근본적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이다.
1. 지식의 본질은 무엇인가? 2.
어떻게 우리는 알게 되는가? 3. 어떻게 지식은 평가되는가?
수업개요
구성주의는 적극적인 창조와 생각, 아이디어, 행동 그리고 개인과 사회문화 내에 발생하는 경험의 결과의 이해의 변경이다. (1) 무엇이 유효한 지식으로 여겨지는가?
(2) 어떻게 우리는 알게 되는가? (3) 지식의 가치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구성주의는 개개인 학습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중요시하며 사회와 개인의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배움의 과정이며 학습자에 의해 습득된 지식은 외적현실의 표현에 따라 달라진다. 이 수업은 이러한 이슈들을 지도, 배움, 기술, 사회, 연구 그리고 교육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수업은 지식의 구성이며 삶을 알아가는 것이다.
교육목표와 결과물
교육목표 1. ontology, epistemology,그리고axiology
를 이해해야 함.
결과물1. Ontology, epistemology, axiology
와 관련된 핵심적인 개념과 용어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물 2. 이러한 핵심적인 개념과 용어를 교육과 관련된 이슈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물3. 교육과 사회 내의 근본, 기능 그리고 지식의 탐구에 있어서 비판적인 관점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목표 2. 다양한 타입의 구성주의의 기본적인 유사성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물4. 다양한 타입의 구성주의 내에 ontology, epistemology, axiology 의 근본적인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을 것
결과물5. 이러한 핵심 유사점과 차이점을 교육적 이슈에 적용할 수 있음
교육목표 3. 구성주의 철학, 이론, 교육학을 교육에서 구성주의를 사용하는 근거를 만들기 위해 나열할 필요성을 느낄 것이다
결과물6. 철학, 이론, 교육학을 통합시킬 수 있음.
평가
1.
25자 요약
2.
수업평가
교재
Kvale, S. (1995). Themes of postmodernity. In W. T. Anderson
(Ed.), The truth about the truth (pp. 18-25).
New York, NY: Putnam.
Lamichhane, S., & Wagley, M. (2008). Post modernism and
Nepal’s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Research, 1(1), 9-12.
Brooks, J., & Brooks, M. (1993).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Alexandria, VA: ASCD.
** Read the whole book, but only write a 25-word summary of
chapter 2.
Moore, T., Guzey, S., Roehrig, G., Stohlmann, M., Park,. S.,
Kim, Y. R., Callender, H., & Teo, H. J.
(2015). Changes in faculty members’ instructional beliefs
while implementing model-eliciting
activiti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4(3),
279-302.
댓글
댓글 쓰기